본문 바로가기

Coffee62

61. 에스프레소 위 거품, 크레마는 왜 생기고 왜 중요할까? 에스프레소 위 거품, 크레마는 왜 생기고 왜 중요할까?에스프레소를 처음 접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 위에 떠 있는 거품 같은 건 뭐죠?”입니다.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선 “크레마가 좋으면 커피가 좋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에스프레소에서 크레마는 단순한 장식이 아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크레마는 정확히 무엇이고, 왜 어떤 샷에는 풍부하게 생기고, 어떤 샷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 걸까요? 크레마가 좋은 에스프레소의 ‘증거’일까요, 아니면 과대평가된 신화일 뿐일까요?크레마란 정확히 무엇인가?크레마는 에스프레소 위에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미세한 거품층입니다. 짙은 황금색에서 밝은 캐러멜색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신선한 커피 원두에서 추출된 에스프레소일수록 더 풍부한.. 2025. 4. 10.
60. SCA 커피 센서리 용어 정리 2편 – 실전 활용편 SCA 커피 센서리 용어 정리 2편 – 실전 활용편커피 테이스팅을 처음 배울 때 대부분이 이렇게 말합니다.“느낌은 알겠는데, 이걸 뭐라고 말해야 하죠?”테이스팅은 단순히 맛을 느끼는 것을 넘어서그 느낌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표현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의 센서리 기준은이런 표현력을 체계화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마신 후 커피를 평가하는 실전 표현법을 항목별로 정리합니다.또한 자주 혼동되는 개념들(바디·마우스필·농도)도 구분해 설명하겠습니다.향 (Aroma · 아로마)Aroma(아로마)는 커피가 추출된 뒤,기화된 상태로 퍼지는 향을 말합니다.컵 가까이 코를 댔을 때 느껴지는 향기가 이에 해당합니다.이는 커피의 품종, 가공 방식, 로스팅 .. 2025. 4. 9.
59. SCA 커피 센서리 용어 정리 1편 SCA 커피 센서리 용어 정리 1편Fragrance / Aroma프래그런스 / 아로마프래그런스는 분쇄된 원두에서 느껴지는 건향을, 아로마는 추출된 커피에서 발생하는 습향을 의미합니다. 이 항목은 커핑 시 가장 먼저 평가되며, 커피의 첫 인상을 좌우합니다. 향의 선명도, 복합성,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향을 감별하는 데 사용됩니다.Flavor플레이버커피를 마셨을 때 느껴지는 전체적인 맛과 향의 조화를 뜻합니다. 커피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항목으로, 커핑에서 첫 모금부터 중반까지의 맛의 구조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Aftertaste애프터테이스트커피를 삼킨 후 입안에 남는 맛의 여운과 지속 시간을 평가합니다. 좋은 커피일수록 긴 여운과 긍정적인 맛이 유지됩니다. 후반부 인상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 2025. 4. 7.
58. 핸드드립 물온도 도대체 몇 도가 정답일까? 실험편 핸드드립 물온도 도대체 몇 도가 정답일까? 실험편 에티오피아 라이트 vs 브라질 다크, 온도별 맛 비교 실험기커피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봤을 겁니다."핸드드립할 때 물 온도는 몇 도가 제일 맛있을까?"커피 추출에는 많은 변수들이 있지만, 물 온도는 그 중에서도 맛의 방향성과 인상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입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많은 레시피가 "93도 전후"라고만 설명할 뿐, 왜 그런지, 그리고 온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는 설명하지 않아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에티오피아 라이트 로스팅 원두와 브라질 다크 로스팅 원두를 각각 80도부터 100도까지 다양한 온도로 핸드드립해서, 직접 마셔보고 비교해봤습니다.이제부터 그 결과를 낱낱이 공개합니다. 어떤 온도에서 어떤 향과 맛이 터지는.. 2025. 4. 5.
57. 물총처럼 튀는 에스프레소 원인은 채널링? 메저 메이저 그라인더에서 찾아낸 해답 물총처럼 튀는 에스프레소 원인은 채널링? 메저 메이저 그라인더에서 찾아낸 해답에스프레소 추출을 하다 보면, 크레마가 한쪽으로 몰리거나 추출수가 갑자기 튀면서 물총처럼 뿜어져 나오는 상황을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거예요.이럴 때 대부분은 “탬핑이 비뚤었나?” 혹은 “머신 문제인가?” 같은 생각부터 하게 되죠.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더 본질적인 원인, 바로 채널링(channeling)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사용하는 메저 메이저 수동 그라인더 세팅을 기준으로,채널링이 왜 생기는지,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었는지를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보려 합니다.그리고 자동 모델과 수동 모델의 추출 환경 차이,정전기와 클럼핑 문제, WDT툴의 실제 효과까지—한 번에 정리해볼게요.채널링이란 무엇인가.. 2025. 4. 4.
56. 핸드드립 추출비율 조절 실제 적용과 맛의 변화 핸드드립 추출비율 조절 실제 적용과 맛의 변화커피 한 잔의 맛은 단순한 레시피를 넘어서, 수많은 변수들의 균형 속에서 완성된다. 특히 **핸드드립 추출에서의 추출비율(Brew Ratio)**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다. 이 글에서는 추출비율을 고정된 물의 양 안에서 원두량만 조절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을 때 어떤 실제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 수치적 분석과 관능적 결과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1. 추출비율 조절의 기본 개념핸드드립에서 말하는 추출비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추출비율(Brew Ratio) = 커피 원두(g) : 물(g 또는 mL)많이 사용되는 비율은 1:15, 1:16, 1:17 등이 있으며, 수치가 작을수록 농도가 진하고, 클수록 연한 커피가 만들어진다. 그러나 같은.. 2025. 3. 25.
55.핸드드립 추출에서 스월링을 하는 이유 작은 회전에 담긴 커피의 과학 핸드드립 추출 후 '서버 스월링', 꼭 해야 할까?커피 추출이 끝난 후, 서버를 살짝 돌리는 그 동작. 단순해 보이지만, 그 안엔 추출 균형을 잡는 과학이 숨어 있습니다.목차서론: 핸드드립은 ‘정리의 기술’이다스월링의 정의: 드리퍼가 아닌, 서버에서서버 스월링의 과학적 원리스월링이 커피에 주는 영향스월링을 해야 할 때, 하지 말아야 할 때실제 바리스타들의 적용 사례스월링에 대한 오해와 반론결론: 선택적 디테일, 하지만 강력한 디테일서론: 핸드드립은 ‘정리의 기술’이다핸드드립 추출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복잡함이 아니라 '미묘함'이다.같은 원두, 같은 도구, 같은 추출법이라도 물의 주입 속도나 흐름의 방향이 다르면 결과가 달라진다. 그래서 우리는 도구의 세밀한 차이, 물줄기의 템포, 심지어 추출 후 커피를 .. 2025. 3. 25.
54.커피 애호가들이 사랑하는 SSP 버, 그 매력과 모든 것 커피 애호가들이 사랑하는 SSP 버, 그 매력과 모든 것SSP 버는 커피 그라인더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비밀 무기입니다. 균일한 입자 분포와 풍미 강조는 왜 SSP 버가 주목받는지 보여줍니다.목차시작하며SSP 버란 무엇인가?SSP 버의 주요 특징SSP 버의 종류SSP 버의 장점과 한계메져 슈퍼졸리와 SSP 버 비교기본 버와 SSP 버의 차이실제 성능과 추출 결과자주 묻는 질문마치며시작하며커피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봤을 겁니다. "왜 내가 추출한 커피는 카페에서 마시는 맛과 다를까?" 저도 처음엔 이런 물음을 끊임없이 되뇌었죠. 좋은 원두를 사용하고, 비싼 머신을 구입했음에도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그러던 어느 날, 커피 추출의 세계에 SSP.. 2024. 12. 18.
53.스페셜티 커피, 모닝 캡슐 머신 구매 전 알아야 할 것 스페셜티 커피, 모닝 캡슐 머신 구매 전 알아야 할 것커피 애호가라면 한 번쯤 "스페셜티 커피를 집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없을까?"라는 고민을 해보셨을 겁니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모닝 캡슐 머신입니다. 이 머신은 단순히 간편한 캡슐 머신을 넘어, 스페셜티 커피에 최적화된 고급 기능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하지만 모든 제품이 그렇듯, 구매 전에 알고 넘어가야 할 점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닝 캡슐 머신의 기본 정보와 장단점,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 그리고 중고 매물로 나오는 이유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모닝 캡슐 머신의 주요 사양과 특징모닝 캡슐 머신의 장점모닝 캡슐 머신의 단점궁금해하는 사항중고 매물로 나오는 이유모닝 캡슐 머신 구매 전 고려할 점결론: 모닝 캡슐 머신.. 2024. 12. 18.
반응형
반응형